[정보] (코인비평) 토큰 이코노미(Token Economy) - 1편 ; 이게 안되면 시작해도 소용 없다.
- Work4Block
- 0
- 3,081
- 0
- 0
- 글주소
- 08-09
토큰 이코노미를 뭐라고 번역하면 좋을지 모르겠습니다만 많이 들어보셨을겁니다. 아래에 잘 설명된 글이 있어서 첨부하겠습니다. 꼭 한번 읽어보십시오.
토큰 이코노미를 설명할 때, 위의 글 첫 문단보다 더 유려하고 명확하게 설명할 자신이 없으므로 위 글 본문내용을 캡쳐해서 보여드리겠습니다.
아래 @joceo00 님의 글도 토큰이코노미와 암호화폐에 대해, 특히 Specified Target Behaviors 의 중요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스팀잇의 토큰 이코노미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토큰 이코노미의 세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 Tokens
- Back-up Reinforcers
- Specified Target Behaviors
위의 세가지 요소에서 Tokens은 Steem 일 것이고, Back-up Reinforcers 업보트에 따른 토큰 획득과 다운보트에 따른 벌 정도로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제일 중요한 것 Specified Target Behaviors 입니다. 위 두가지의 결합에 의해서 참여자가 하게 되는 행동은 글을 쓰거나 댓글을 달고, 업보트를 하는 것 등입니다.
물론 글을 쓰고 소통하는 즐거움이라느 인간의 근본 욕구가 기본이지만 스팀잇의 토큰 이코노미는 위 인간의 근본적인 욕구와 이를 보상하는 방식이 비교적 일치되어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토큰 이코노미가 형성이 되면 참여자들은 Specified Target Behaviors 를 강화하고 아 결과 토큰 생태계는 활성화됩니다.
스팀잇으로 보자면 더 많이 글을 쓰고, 댓글을 달고, 업보트를 누르게 됩니다. 또한 스팀을 보유하려는 욕구도 강해지고 이에 따라 스팀 가격은 상승합니다. 글을 써서 보상을 받았으니 이를 명목화폐로 교환하여 실제 사용하는 사람도 많아집니다. 스팀을 사용하는 다양한 시도가 늘어나고 이는 Positive feedback 을 일으킵니다.
이게 우리가 원하는 스팀잇과 스팀의 토큰 이코노미입니다. 만약 스팀과 스팀잇이 이런 부분이 잘 안되는 곳이 있다면 토큰 이코노미가 잘 안되는 부분이 있는 것이겠죠.
토큰 이코노미는 암호화폐 프로젝트의 성공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가장 직관적인이고 확실한 잣대입니다.
토큰 이코노미가 실패하는 이유는 많지만 대략 생각 나는 것은 아래와 같습니다.
- 토큰 정책이 불공평하고 불투명하다.
- 토큰의 쓰임새 자체가 미심쩍다.
- 최초 토큰 판매 가격이 너무 높다.
보물선 안의 금괴를 담보로 발행한 신일골드코인은 토큰 분배정책이 너무 불투명해서 불공평한지 조차 확인할 수 없을 뿐더러 쓰임새가 매우 미심쩍습니다. 토큰가격도 120원으로 하드캡은 비트코인보다 높은 150조원어치 이니 이걸 제정신으로 살 수는 없는것이죠.
코인레일 거래소의 Rail 코인은 어떤가요? 토큰분배정책은 불투명하고 토큰의 하드캡은700억원이 넘습니다. 해킹사고를 일으켜 생존 조차 불확실한 거래소 내부에서만 사용되는 토큰 치고는 토큰가격을 터무니 없이 높게 책정한 것이지요. 때문에 이 토큰의 가치가 장기간 유지되거나 올라갈 것이라고 생각하기 힘듭니다.
이런 스캠성이거나 어이없는 프로젝트를 제외하고 기술력이 특별히 문제될 것 없어보이고 토큰의 쓰임새도 명확하지만 지지부진한 프로젝트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를 자세히 살펴보면 토큰 이코노미를 생각하지 않고 프로젝트를 시작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대부분 이런 프로젝트는 토큰 이코노미의 시작점... 토큰 분배정책부터 틀려먹었습니다.
토큰 이코노미의 시작점은 토큰 분배정책입니다.
세상에는 시작부터 글러먹은 것이 있습니다. 토큰 이코노미의 시작을 토큰 분배정책이라고 볼 때, 공평하고 투명하지 않은토큰 분배정책을 갖고 있는 프로젝트는 시작부터 글러먹은 것입니다.
글러먹은 프로젝트인지 아닌지는 한가지만 보면 됩니다. 프로젝트를 주도하는 집단이 얼마나 많은 토큰을 보유하거나 조종하려고 하는가 입니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이나 EOS 총 발행량의 90%를 개발자가 갖고 있다고 칩시다. 미래에 Dapp이 엄청 많이 나오고 신뢰기반 분산컴퓨터의 시대가 열린다고 칩시다. Dapp 개발자들이 특정인이 90%의 지분을 갖고 있는 플랫폼에 진입하려고 할까요? 투자자는 이런 플랫폼 코인을 구입하려고 할까요?
특정인이 가격을 조종할수도 있고, 모든 토큰 정책을 결정하거나 바꿀 수 있는 플랫폼은 참여자와 투자자 모두에게서 외면당합니다.
때문에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사람이 가장 처음 해야 할 일은 참여자와 투자자의 Specified Target Behaviors 를 유발할 수 있는 토큰 분배정책을 계획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한다고 해도 토큰 이코노미가 형성되고 프로젝트가 성공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이렇게 안하면 그 프로젝트는 반드시 실패합니다.
한가지 제멋대로 토큰정책을 펼쳐도 성공할 수 있는 길은 있습니다. 모든 병을 치료하는 치료제나 광속 비슷하게 움직일 수 있는 우주선처럼 도저히 따라할 수 없고 압도적인 쓰임새를 주는 재화나 용역을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그런게 아니라면 자신이 만들어낸 프로젝트에서 전제군주가 될려고 하면 안됩니다. 누구도 전제군주의 지배를 받고 싶어하지 않기 때문이죠. 사람 심리가 전제군주의 지배는 받고 싶어하지 않으면서 기회만 되면 전제군주가 되고 싶어합니다. 이걸 다스리지 못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프로젝트가 망가집니다. 결국 개발자들의 탐욕 때문에 프로젝트가 실패하는 겁니다.
특정 암호화폐 프로젝트는 이런 면에서 괴이한 토큰분배정책을 갖고 있는 것들이 있습니다. 이런 프로젝트가 아무리 달콤한 약속을 하고, 자신의 기술을 자랑하,고 자신이 본 기회를 떠들더라도 가까이 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암호화폐에 투자할 때, 이 암호화폐의 토큰정책을 먼저 봐야 합니다. 그런 면에서 다음 글에서는 토큰 이코노미를 무시하고 시작하는 프로젝트 몇개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