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경제] 스포츠의 경제학 - 왜 그리고 어떻게 경제학은 스포츠를 사로잡게 되었을까?

좋아하는 스포츠를 유심히 보면 경제학의 영향을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선수 드래프트 방식이나 연봉에서부터 코치의 지도 방식과 전략적 리그 이동까지 분명히 경제학이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image.png

특히 경제학의 게임 이론 발전이 큰 역할을 했습니다. 게임 이론은 수학적 모델을 이용해 야구에서 투수의 구종 등과 같은 최적의 전략을 파악합니다.

스포츠는 경제학과 게임 이론에 적합합니다. 왜냐하면 선수, 코치 및 에이전트는 경제학 모델에서 가상의 합리적 의사 결정자와 유사하게 행동하기 때문입니다.

프로 스포츠의 경제학

영화N'머니볼'을 봤거나 원작을 읽어 봤다면, 경제학을 통해 팀을 구성하는 방식을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오클랜드 어슬레틱스의 전 단장 빌리 빈의 실화에 바탕한 이야기 입니다. 빈 단장은 저평가 선수를 판별하기 위해 경제학을 사용한 것으로 유명해졌습니다.

야구 스카우트와 에이전트는 종종 타구 속도 같은 중요치 않은 요소에 너무 크게 집중하곤 합니다. 빌리 빈 단장은 고급 통계학을 사용해 경쟁 선수 대비 저평가된 선수를 골라낼 수 있었고, 그들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한 방식으로 경기를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농구의 경우, NBA에서 3점 슛이 대유행하게 된 데는 로버트 D. 톨리존이 큰 역할을 했습니다. 톨리존의 조사에 따르면, 3점 슛이 다른 슛보다 정확도가 떨어지더라도 전체
경기 및 시즌에 걸쳐서 보면 3점 슛을 더 많이 던져야 함이 확인되었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특정 문제 해결에 경제학자들이 동원되기도 했습니다. 예를 들어, AFL은 팀들이 다음 시즌 드래프트에서 좋은 선수를 뽑기 위해 "일부러 지는" 것을 우려했습니다.

따라서 AFL에서는 멜버른 대학의 제프 볼랜드 교수에게 팀 성적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척도 (승률, 결승전에 오른 횟수 선수 부상 정도 등)를 찾아 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image.png

그렇다면 왜 경제학은 스포츠에 뛰어들게 되었을까요?

경제학 이론은 팀과 리그에게 재정적으로 도움을 줍니다. 미식 축구 슈퍼볼 경기는 매년 미국에섬만 1억 1,100만 명이 시청합니다.

호주의 경우, AFL 및 NRL 각각의 방송 중계권 가격은 20억 달러에 달합니다. 여기에는 팬들에게 판매된 관련 상품 매출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경제학자들은 종종 스포츠의 다른 측면에서 동기를 얻기도 합니다. 스포츠 분석으로 인센티브의 영향, 인종 및 성별 노동 시장 차별 및 경쟁 같은 경제학의 근본적인 질문의 단초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메이저 리그에서 행크 애런 같은 비백인 선수에 대한 차별을 연구는 직장 내 인종 차별에 대한 많은 흥미로운 연구를 이끌어 냈습니다.

마찬가지로, 선수 연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잉글랜드 프리미어 리그는 모든 승자 독식 시장에 대한 많은 분석을 이끌어냈습니다. 또한 다른 스포츠 리그에서 연봉 상한제 및 드래프트 제한 같은 제도를 제정하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image.png

하지만 스포츠의 경제학은 학계, 팀 및 리그만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지난 몇 년 동안 팬들도 이 움직임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한 몇 권의 베스트셀러가 나왔습니다.

예를 들어, 사이먼 쿠퍼와 스티븐 시즈만스키의 "Soccernomics(사커노믹스)"가 그렇습니다. 이 책은 경기에서 흔히 나오는 질문에 통계학, 경제학, 심리학 및 게임 이론을 적용합니다. 어떤 나라가 축구를 가장 좋아할까? 노르웨이라고 합니다. 월드컵에서 실력보다 성적이 더 좋은 나라는 어디일까? 영국이라고 합니다.

또한 프랭클린 포어의 "How Soccer Explains The World(번역서: 축구는 어떻게 세계를 지배했는가)"는 축구를 통해 세계화, 과두 정치 및 반유대주의 같은 다양한 주제를 설명합니다.

저명한 경제학자 로렌스 리터는 미국 메이저 리그 초기를 다룬 책 "The Glory of Their Times(번역서: 추억의 다이아몬드)"로 유명합니다. 1920년대 미국 기업 사회의 노동 시장을 이해하는데 이 책보다 더 좋은 책은 없을 것입니다.

데이터가 쌓이고 팀별로 전략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스포츠 경제학은 계속해서 발전해 나갈 것입니다. 세계 스포츠 산업은 경제학적 측면에서 하나의 경기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출처: The Conversation,"How and why economics is taking over sports">

0
0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자유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87 자유 게시판 [투자] 수집품의 투자 수익률은 얼마나 될까요? - 이코노미스트 icon Work4Block 05-26 3,004
86 자유 게시판 [투자] 투자에서 천재성이란 추세의 방향을 인식하고 있는 것 icon Work4Block 05-26 2,943
85 자유 게시판 [경제] 스포츠의 경제학 - 왜 그리고 어떻게 경제학은 스포츠를 사로잡게 되었을까? icon Work4Block 05-26 3,438
84 자유 게시판 [경제] 고가 미술품의 경제학 - 투자일까, 소유일까? icon Work4Block 05-26 2,932
83 자유 게시판 [경제] 1,800달러짜리 아이폰의 행동 경제학 - 앵커링 효과 icon Work4Block 05-26 2,784
82 자유 게시판 그들은 왜 암호화폐 시장이 망하라고 저주를 퍼붓는 걸까요? icon Work4Block 05-25 2,863
81 자유 게시판 블록체인과 암호화폐가 정말 필요한 곳은 개발도상국 icon Work4Block 05-25 2,739
80 자유 게시판 [시장역사] 튤립 열풍 얘기는 대부분 구라 - 런던 킹스 칼리지 역사 교수가 들려주는 진실 icon Work4Block 05-25 3,306
79 자유 게시판 [블록체인] 사회적 불평등이 해소된 미래 블록체인 세상 icon Work4Block 05-25 2,886
78 자유 게시판 [투자] 시장의 고르디우스 매듭, 어떻게 풀 것인가? icon Work4Block 05-25 2,735
77 자유 게시판 [블록체인] 블록체인 vs. 기존 데이터베이스 icon Work4Block 05-25 2,527
76 자유 게시판 우리는 얼마나 먹어야 하나? 다른 동물들과 비교해 보자 icon Work4Block 05-25 2,606
75 자유 게시판 [블록체인] 블록체인 기술의 미래, POS(Proof-of-Stake; 지분 증명) 방식 icon Work4Block 05-25 2,669
74 자유 게시판 [경제] 2018년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브랜드 icon Work4Block 05-25 2,828
73 자유 게시판 [경제 역사] 18세기 산업 혁명의 원동력이 증기 기관뿐이었을까요? icon Work4Block 05-25 2,790
72 자유 게시판 [금융 시장 역사] 최초의 약세장은 언제였을까요? icon Work4Block 05-25 2,709
71 자유 게시판 암호화폐를 폄훼하는 이들은 왜 그런 것일까요? - 행동 경제학의 관점 icon Work4Block 05-25 2,550
70 자유 게시판 [투자] 개인 투자자가 전문가보다 뭘 더 잘할 수 있을까요? icon Work4Block 05-25 2,491
69 자유 게시판 [투자행동] 군중의 지혜가 필요하다면, 스스로 군중이 되어보는 것도 icon Work4Block 05-25 2,479
68 자유 게시판 [투자] 고래들이 시장에서 사용하는 작전 icon Work4Block 05-25 2,7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