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블록체인] 블록체인 vs. 기존 데이터베이스

블록체인과 기존 데이터베이스의 차이점을 이해하려면 각각의 설계 및 유지 관리 방식을 살펴봐야 합니다.

image.png

<블록체인 상의 분산 노드>

기존 데이터베이스

기존 데이터베이스는 클라이언트-서버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사용합니다. 여기서 사용자(클라이언트라고 함)는 중앙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의 통제권은 지정된 관리자에게 있으며, 클라이언트의 자격을 인증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접근을 허용합니다. 이 관리자에개 데이터베이스의 관리 책임이 있기 때문에, 관리자의 보안이 뚫리게 되면, 데이터베이스가 변경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image.png

<기존 데이터베이스>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개의 노드로 구성되어 분산되어 있습니다. 각 노드가 관리에 참여하는데, 노드 전체가 블록체인에 새로 추가할 사항을 확인해야, 데이터베이스에 새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블록체인에 추가할 사항은 노드 대부분의 합의가 필요합니다. 이런 합의 메커니즘이 네트워크의 보안을 보장하기 때문에 변경이 어렵습니다.

비트코인의 경우, 채굴(복잡한 해싱 퍼질 해결)에 의해 합의가 이루어지는 반면, 이더리움에서는 합의 메커니즘으로 지분 증명 방식을 이용합니다. 이 두 가지 합의 메커니즘의 차이는 이전 포스팅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무결성 및 투명성

기존 데이터베이스 기술과 구별되는 블록체인 기술의 핵심 특징은 공개 검증 가능성으로, 무결성과 투명성을 보장해 줍니다.

  • 무결성: 모든 사용자는 자신이 검색하고 있는 데이터가 기록된 이후로 변경 또는 손상되지 않았음을 확신할 수 있음.

  • 투명성: 모든 사용자는 과거로부터 블록체인이 어떻게 추가되어 왔는지 확인할 수 있음.

image.png

<전 세계에 분산되어 있는 대시코인 마스터노드 지도>

CRUD vs. 읽기 및 쓰기 작업

기존 데이터베이스의 경우, 클라이언트는 데이터 생성(Create), 읽기(Read), 갱신(Update) 및 삭제(Delete)(총칭하여 CRUD 명령이라고 함) 이 네 가지 기능을 수행 할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은 추가만 가능한 구조로 설계되었습니다. 사용자는 블록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오직 데이터를 추가할 수만 있습니다. 이전의 모든 데이터는 영구적으로 저장되며, 변경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블록체인과 관련된 유일한 작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읽기 작업: 블록체인에서 데이터를 쿼리하고 검색함.

  • 쓰기 작업 : 블록체인에 데이터를 추가함.

검증 및 작성

블록체인에서는 두 가지 기능이 가능합니다. 트랜잭션의 유효성 검증과 신규 트랜잭션 작성입니다. 트랜잭션은 블록체인에 있는 데이터의 상태를 변경하는 작업입니다.블록체인 상의 기존 내용은 항상 동일하게 유지되야 하지만, 신규 내용으로 기존 내용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내 비트코인 지갑에 1백만 BTC가 들어있다고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있다면, 이 액수는 블록체인에 영구 저장됩니다. 여기서 20만 BTC를 쓰게되면, 이 트랜잭션이 블록체인에 기록되고, 지갑의 액수는 80만 BTC가 됩니다.

하지만 블록체인은 추가만 가능하기 때문에, 트랜잭션 전 액수 1백만 BTC도 블록체인에 영구적으로 남아있게 되고, 보고 싶은 사람은 누구나 볼 수 있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블록체인을 종종 영구불변의 분산 원장이라고 부르는 이유입니다.

image.png

<중앙 집중식 vs. P2P>

간단히 말해서, 차이점은 분산 통제 방식

분산 통제 방식은 중앙 집중 통제 방식의 위험을 없애 줍니다. 중앙 집중식 데이터베이스에 접근 권한만 있으면 누구라도 데이터를 파괴하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의 보안 인프라에 의존할 수밖에 없습니다.

블록체인 기술은 분산 데이터 저장 방식을 통해 이런 문제를 사전에 차단하기 때문에, 보안성이 월등합니다.

블록체인 기술은 특정 종류의 정보를 기록하는데 적합하지만, 기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한 정보도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조직은 어느 방식을 채택하기 이전에 먼저, 자체 데이터베이스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이해하고, 각 방식의 장점과 단점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출처: Towards Data Science, "Blockchains versus Traditional Databases">

0
0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자유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87 자유 게시판 [투자] 수집품의 투자 수익률은 얼마나 될까요? - 이코노미스트 icon Work4Block 05-26 3,004
86 자유 게시판 [투자] 투자에서 천재성이란 추세의 방향을 인식하고 있는 것 icon Work4Block 05-26 2,943
85 자유 게시판 [경제] 스포츠의 경제학 - 왜 그리고 어떻게 경제학은 스포츠를 사로잡게 되었을까? icon Work4Block 05-26 3,437
84 자유 게시판 [경제] 고가 미술품의 경제학 - 투자일까, 소유일까? icon Work4Block 05-26 2,932
83 자유 게시판 [경제] 1,800달러짜리 아이폰의 행동 경제학 - 앵커링 효과 icon Work4Block 05-26 2,784
82 자유 게시판 그들은 왜 암호화폐 시장이 망하라고 저주를 퍼붓는 걸까요? icon Work4Block 05-25 2,863
81 자유 게시판 블록체인과 암호화폐가 정말 필요한 곳은 개발도상국 icon Work4Block 05-25 2,739
80 자유 게시판 [시장역사] 튤립 열풍 얘기는 대부분 구라 - 런던 킹스 칼리지 역사 교수가 들려주는 진실 icon Work4Block 05-25 3,306
79 자유 게시판 [블록체인] 사회적 불평등이 해소된 미래 블록체인 세상 icon Work4Block 05-25 2,886
78 자유 게시판 [투자] 시장의 고르디우스 매듭, 어떻게 풀 것인가? icon Work4Block 05-25 2,735
77 자유 게시판 [블록체인] 블록체인 vs. 기존 데이터베이스 icon Work4Block 05-25 2,527
76 자유 게시판 우리는 얼마나 먹어야 하나? 다른 동물들과 비교해 보자 icon Work4Block 05-25 2,606
75 자유 게시판 [블록체인] 블록체인 기술의 미래, POS(Proof-of-Stake; 지분 증명) 방식 icon Work4Block 05-25 2,669
74 자유 게시판 [경제] 2018년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브랜드 icon Work4Block 05-25 2,828
73 자유 게시판 [경제 역사] 18세기 산업 혁명의 원동력이 증기 기관뿐이었을까요? icon Work4Block 05-25 2,790
72 자유 게시판 [금융 시장 역사] 최초의 약세장은 언제였을까요? icon Work4Block 05-25 2,709
71 자유 게시판 암호화폐를 폄훼하는 이들은 왜 그런 것일까요? - 행동 경제학의 관점 icon Work4Block 05-25 2,550
70 자유 게시판 [투자] 개인 투자자가 전문가보다 뭘 더 잘할 수 있을까요? icon Work4Block 05-25 2,491
69 자유 게시판 [투자행동] 군중의 지혜가 필요하다면, 스스로 군중이 되어보는 것도 icon Work4Block 05-25 2,479
68 자유 게시판 [투자] 고래들이 시장에서 사용하는 작전 icon Work4Block 05-25 2,7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