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장기적인 관점으로 보는 S&P 500의 강세장과 약세장

2009년 3월이 장기 약세장의 저점이고, 장기 강세장의 출발점이었을까? 지금까지 10년 이상, S&P 500은 월말 종가 기준으로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워 왔다.​

과거의 시장 역사를 살펴보면서, 주가가 어떤 범위 내에서 움직여 왔는지 이해의 폭을 넓혀보자. 일련의 인플레이션 조정 수익률을 볼 때 알 수 있는 분명한 특징은 상승 추세와 하락 추세가 장기적으로 교대를 거쳐 왔다는 점이다. 시장 역사가들은 이를 "장기" 강세장과 약세장이라고 부른다.

image.png

위 차트의 핵심은 장기 추세라는 점이다. 파란색은 장기적으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해 나가는 추세를 보여준다. 그 사이의 기간은, 주기적으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지만, 장기 약세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932년부터 1937년까지의 상승 랠리는 아주 강하긴 했지만, 전 고점을 경신하지 못했으므로, 장기 약세장 주기에 속한다. 1937년 S&P 500의 고점은 1929년의 전 고점보다 29% 아래에 있었다.​

이 차트의 기본 데이터를 연구해 보면, 이러한 장기적인 패턴에서 여러 가지 흥미로운 사실을 추출할 수 있다(아래 표에는 1932-~937년 랠리가 포함됨).

image.png

S&P 500은 1877년부터 2009년 3월의 저점까지,​

  • 장기 강세장으로 총 2,075% 상승했으며, 평균 상승률은 415%였다.

  • 장기 약세장으로 총 -329% 하락했으며, 평균 하락률은 -65%였다.

  • 장기 강세장은 총 80년이었고, 장기 약세장은 52년으로, 60:40 비율이었다.​

세 번째 데이터가 대부분에게 놀랍게 다가올 것이다. 금융 산업과 언론은 시장이 저점으로 하락할 때마다 매수 기회라고 우리를 길들여 왔다. 전체 기간 중 약세장이 약 40%를 차지했음을 이해한다면, 21세기에 두 차례 등장했던 시장 붕괴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회귀 추세선 추가

위 차트에 회귀 추세선을 추가해 검토해 보자.

image.png

이 추세선은 월간 종가를 나눠, 고점과 저점의 중간이 되도록 그은 것이다.​

아래 차트는 회귀 추세선과 동일한 기울기로 채널을 만든 것으로, 위쪽 선은 기술주 거품 당시의 고점을 기준으로, 아래쪽 선은 1932년의 저점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image.png

역사적으로, 추세의 회귀는 반대쪽 영역으로 넘어간다는 의미였다. 최근 월간 종가는 추세선 보다 110% 높았다.​

2009년 3월 저점 아니라, 새로운 저점이 생길 수 있을까? 그럴 수도 있지만, 오직 시간만이 말해 줄 것이다.​

위 차트에서 2009년 저점 이후의 상승 랠리는 파란색으로 표시했고, 당시가 장기 강세장의 출발점이었다. 그렇게 한 이유는 2011년 12월 이전 고점을 경신하고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직 장기 약세장 사이클 안에 있다는 주장도 있다.​

한편, 인구 통계를 보면 향후 주식 시장의 방향을 어느 정도 가늠해 볼 수 있다. 소득과 지출이 낮은 20~34세 연령대 대비 그보다 높은 35~49세 연령대의 비율이 최고 소득 연령대(45~54세) 대비 고 연령대(65 세 이상) 비율보다 낮아지고 있다. 다음 차트는 인구 조사국의 과거 데이터와 2060년 중반까지의 예측을 기반으로 한 인구 통계 추세다.

image.png

위의 차트에서 고 연령대(빨간색)의 수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차트에서 파란색으로 표시한 퇴직인구 대비 노동인구 비율은 2007년에 정점을 찍은 후 급격히 하락했고, 2030년 이후 횡보를 이룰 것으로 보인다.​

노동인구(선진국의 경우 20~64세) 대비 65세 이상 연령대의 비율을 의미하는 고령자 부양 비율은 더 혼란스럽다. 인구 조사국이 2060년까지 예측한 고령자 부양 비율 추세다.

image.png

차트가 보여 주듯이, 현재 고령자 부양 비율은 상승 추세 초입에 있으며, 18년 후인 2036년까지 상승을 멈추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자료 출처: Advisor Perspectives, "A Perspective on Secular Bull and Bear Markets"

0
0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자유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989 자유 게시판 세계 경제 센티멘트, 개선되고 있는 중 icon Work4Block 10-02 2,341
1988 자유 게시판 가치주의 귀환? icon Work4Block 10-02 2,262
1987 자유 게시판 채권 금리 하락은 수 세기 동안 이어진 장기 추세다 icon Work4Block 10-02 2,269
1986 자유 게시판 온갖 종류의 자산이 거래되는 세상, 프로 스포츠 구단도 예외는 아니다 icon Work4Block 10-02 2,430
1985 자유 게시판 장기적인 관점으로 보는 S&P 500의 강세장과 약세장 icon Work4Block 10-02 3,225
1984 자유 게시판 수익률 곡선 역전과 주식 수익률 icon Work4Block 10-02 2,525
1983 자유 게시판 위험이 없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위험한 때 icon Work4Block 10-02 2,531
1982 자유 게시판 마이너스(-) 금리의 이해 icon Work4Block 10-02 2,276
1981 자유 게시판 중국에서 모험을 시작한 코스트코 icon Work4Block 10-02 2,163
1980 자유 게시판 트럼프의 중국 관세에 대해 언론이 알려주지 않는 것들 icon Work4Block 10-02 2,282
1979 자유 게시판 60/40 포트폴리오가 앞으로도 유효할까? icon Work4Block 10-02 2,321
1978 자유 게시판 포트폴리오 다각화는 작동한다! icon Work4Block 10-02 2,443
1977 자유 게시판 스웬슨이 “Unconventional Success”에서 일반 투자자에 권한 포트폴리오는 효과가 있었을까? icon Work4Block 10-02 2,079
1976 자유 게시판 왜 금융 시장에는 반복해서 위기가 닥칠까? icon Work4Block 10-02 2,471
1975 자유 게시판 시장 역사상 아마존의 부상이 독특한 이유 icon Work4Block 10-02 2,225
1974 자유 게시판 투자자로서 여러분은 미술관 큐레이터입니까, 아니면 창고 관리자입니까? icon Work4Block 10-02 2,357
1973 자유 게시판 미국 일반 국민의 “dow jones” 검색 증가, 어떤 전조일까? icon Work4Block 10-02 2,192
1972 자유 게시판 배당주 투자에서 가장 큰 실수 icon Work4Block 09-25 2,157
1971 자유 게시판 위안 vs. 인민폐: 그 차이는? icon Work4Block 09-25 2,147
1970 자유 게시판 버핏은 지금 시장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 icon Work4Block 09-25 2,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