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현금 vs. 투자

워런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는 올해 2분기 말 기준 대차 대조표에 1,200억 달러라는 기록적인 규모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

그냥 놀게 놔두기에는 엄청난 액수이며, 아무리 버핏이라도 거북한 수준이다. 버핏은 최근 주주 서한에서도 버크셔의 유동성이 자신이 원하는 수준보다 훨씬 더 높음을 인정했다.​

그러면서 "영구히 보유할 만한" 기업이 나타나면 이 “과잉 유동성” 중 일부를 투자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전망이 매력적인 기업이라 해도 주가가 "하늘이 높이" 치솟아 있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버핏의 시각으로 투자 전망이 그리 좋지 않다.


image.png

현금 배분

최근까지 버핏은 현금의 일부를 주식, 특히 뱅크 오브 아메리카와 항공사 몇 곳에 투자했다. 하지만 2분기에는 주식 매수를 거의 중단했고, 뱅크 오브 아메리카, US 뱅코프 및 아마존에 약간 더 투자했을 뿐이다.​

버핏은 지난 10년 동안 미국 주식 시장이 강세를 이어오고 있는 데도 시장을 관망하고만 있다는 비판을 받곤 했다.​

2019년 버크셔의 주주총회에서 한 투자자가 버핏에게 보유 현금 1,220억 달러를 인덱스 펀드에 넣어두었다면, 주식 시장의 상승 랠리를 감안할 때, 1,550억 달러로 불어나지 않았겠느냐고 물었다.​

이 질문에 버핏은 질문의 숫자를 두고 따지고 싶지는 않다면서, 자신도 국채보다는 인덱스 펀드를 택했을 것이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2007~2008년 그런 방식을 택했더라면 손발이 묶였을 것이고, 그 결과 이후 몇 년 동안 버크셔의 수익률은 고통을 겪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 마디로 현금을 사용하기에 가장 좋은 기회는 "다른 사람들이 그러려고 하지 않을 때"라고 말했다.

경영주처럼 생각하라

현금으로 들고 있어야 하느냐, 아니면 투자해야 하느냐는 투자자들의 오랜 질문 중 하나다. 항상 현금 비중을 유지하는 편을 선호하는 투자자가 있는 반면, 전부 투자를 좋아하는 투자자도 있다.​

“현금 vs. 주식” 논쟁에 대한 해법 중 하나는 세스 클라만이 2004년 바우포스트 그룹의 투자자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알 수 있다. 클라만은 이 서한에서 자신이 "현금 보유라는 고통스러운 결정"을 내린 이유와 투자 수익을 일부 포기하더라도 그렇게 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에 대해 설명했다.

투자자들은 자신이 투자한 기업의 경영진이 공장 신설, 추가 직원 고용 또는 경쟁 업체 인수에 자본을 투입할 때 신중한 결정을 내리리라고 기대합니다. 기업 경영진이 현금이 수중에 있고, 당장은 딱히 더 좋게 쓸 곳도 없다는 이유만으로 기대 수익률이 낮은 곳에 현금을 투자한다면, 반드시 투자자들의 항의가 빗발치게 됩니다. 그렇다면 왜 투자자(헤지 펀드, 뮤추얼 펀드 또는 개인 투자자)가 항상 100%로 투자하고 있으면 안 되고, 기업 경영진에게도 똑같이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야 하는 것일까요? 지난해 말했듯이, 기다리다 보면, 내일의 기회가 오늘의 기회보다 더 비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투자는 사업처럼

많은 투자자들에게 투자는 주식을 사고파는 것이며, 이를 통해 시장을 이기는 것이다. 하지만 본질적으로 투자는 사업이다. 합리적인 자본 배분 결정을 내리고, 주주들의 자금을 허비하지 않는 것이 훌륭한 기업의 사업 방식이다.​

투자자들에게도 마찬가지이며, 사실 모든 개인 투자자들도 그렇게 해야 한다. 예를 들어, 현금이 많고, 부채가 적으며, 현금 흐름이 매력적인 기업에 투자해야 한다.​

이미 15년 전에 세스 클라만이 전한 조언이지만,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포트폴리오에 현금 비중이 너무 높지 않은지(또는 현금을 놀릴 때가 아니라,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해야 하는 데 사용해야 하는 게 아닌지) 생각이 들게 되면, 자신이 경영주라면 그 현금을 투자해 매력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지 스스로에게 물어보기 바란다. 분명한 답은 자신이 알고 있을 것이다.​

자료 출처: Rupert Hargreaves, “When Should You Hold More Cash?”

0
0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자유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969 자유 게시판 차트로 보는 세계 100대 기업 icon Work4Block 09-25 2,431
1968 자유 게시판 투자에서 섣부른 결론의 위험 icon Work4Block 09-25 2,186
1967 자유 게시판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려면, 채권 시장을 이해해야 한다. icon Work4Block 09-25 2,227
1966 자유 게시판 투자 전략으로서 8주 보유 규칙 icon Work4Block 09-25 2,293
1965 자유 게시판 시장 역사에 속지말라. 단기적인 결과가 장기적인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icon Work4Block 09-25 2,224
1964 자유 게시판 포트폴리오 다각화: 투자자의 감정적 행동을 막아주는 근본적인 해법 icon Work4Block 09-17 2,345
1963 자유 게시판 현금 vs. 투자 icon Work4Block 09-17 2,178
1962 자유 게시판 역사상 가장 위대한 투자자는 누구일까? icon Work4Block 09-06 2,249
1961 자유 게시판 초보 투자자가 저지르는 최악의 실수 icon Work4Block 09-06 3,039
1960 자유 게시판 무역 전쟁, 장단기 금리 역전, 주가 급락 - 장기 투자자라면? icon Work4Block 09-06 2,284
1959 자유 게시판 젊은 투자자라면 장단기 금리 역전과 경기 침체를 두려워 해서는 안 된다. icon Work4Block 09-06 2,259
1958 자유 게시판 세계 경제와 시장을 위태롭게 할 수 있는 10가지 “그레이스완” 사건 icon Work4Block 09-06 2,361
1957 자유 게시판 에라스무스에게 배우는 22가지 교훈 icon Work4Block 09-06 2,222
1956 자유 게시판 경기 침체가 찾아왔을 때, 투자자가 가져야 할 자세 icon Work4Block 09-01 2,211
1955 자유 게시판 2년/10년 금리 역전의 결과 - 1978년 이후 주식 시장은 어떤 반응을 보였을까? icon Work4Block 09-01 2,783
1954 자유 게시판 향후 10년 동안 어디에 투자해야 가장 좋을까? icon Work4Block 09-01 2,550
1953 자유 게시판 모든 투자자들이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은 가격이 아니라 구매력이다 icon Work4Block 09-01 2,313
1952 자유 게시판 찰리 멍거의 삶에서 배우는 용기와 희망의 이야기 icon Work4Block 09-01 2,397
1951 자유 게시판 제크가 주식 시장 변동성에 놀라지 않는 이유 icon Work4Block 09-01 2,336
1950 자유 게시판 마이너스(-) 금리 환경, 어떻게 투자할 것인가? icon Work4Block 08-26 2,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