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무역 전쟁, 장단기 금리 역전, 주가 급락 - 장기 투자자라면?

지난주 미국 주식 시장은 다시 한 번 일간 급락을 경험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 역사상 네 번째로 큰 일간 하락이었다고 한다. 퍼센트가 아닌 포인트로만 보면, 시장이 신 고점을 깨고 상승하면 할수록, 그만큼 하락 포인트는 계속 더 커질 것이다. 8월 14일 800포인트 하락은 3.05%에 해당한다. 비교해 보자면, 2008년 12월 1일 하루 만에 다우 지수는 679포인트 하락했는데, 이것은 7.7% 하락에 해당한다. 따라서 다우 지수의 하락을 포인트로만 표현하는 보도는 선정적이라는 비난을 피할 수 없다. 그런 보도는 그냥 거르는 편이 더 낫다.


image.png

그럼에도 주가의 일간 3% 하락은 ​​중요한 움직임이다. 8월 14일의 주가 급락은 이번에는 “실제”였던 장단기 금리 역전에 대한 반응일 가능성이 높다.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가 2년 만기 국채 금리보다 1bp 더 낮아진 것이다. 지난 9차례의 경기 침체에 앞서서도 지금 같은 상황이 일어났다. 지난 3월의 경우, 3개월 금리와 10년 금리가 역전되었지만, 2년 금리는 아니었다. 따라서 이번 2년/10년 금리 역전은 미국 경제가 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는 “합법적인” 경고 신호로 여겨졌다. 역전 현상은 계속되지 않았고, 이튿날 10년 금리가 2bp 더 높아졌다. 따라서 앞으로도 2년/10년 금리가 엎치락뒤치락 할 가능성이 높다.​

미-중국 무역 협상 또한 언론 보도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지난주 화요일 미국은 한발 물러서면서, 중국산 전자 및 소비 제품 3,000억 달러 상당에 대한 신규 관세 부과를 12월 중순까지 연장한다고 발표했다. 크리스마스 쇼핑 시즌에 앞서 관세를 부과하는 편이 중국에 더 큰 압력을 가할 수 있다는 생각인 것으로 보인다. 이달 초 상하이에서 열린 양국 간의 협상이 아무런 진전 없이 끝난 후,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산 제품 3,000억 달러 상당에 신규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선언했었다. 그에 대한 보복으로 중국은 미국산 농산물 구매를 중단하고, 위안화를 평가절하했다. 이로 인해 8월 5일 월요일 다우 지수가 2.9% 갭 하락으로 출반한 원인이었다.​

이 같은 상황에 대해 각종 언론 보도나 투자 뉴스레터는 “경고”로 가득했다. 아마 투자자라면 이런 경고를 피할 수 없었을 것이다.​

장기 투자자가 해야 할 일​

여기서 하는 말이 마음에 들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몸에 좋은 약일수록 입에는 더 쓴 법이다. 진정한 재무 설계와 거기에 맞는 투자 전략을 만들어 진행하고 있다면, 현시점에 아무것도 하지 않는 편이 바람직하다. 들려오는 뉴스에 기분이 언짢아진다면, 1분 만이라도 채널을 돌리거나, 꺼버리는 편이 좋다. 다음번 약세장이 이번 주, 다음 달, 다음 해 또는 다음 10년 이후에 시작될지 누구도 알 수 없지만, 언젠가는 분명 다가올 것이다. 시장이란 그런 곳이며, 장기 투자자들이 온당한 시장 수익률을 얻으려면 약세장은 반드시 필요한 존재다.​

시장 타이밍에 실패하지 않으려면, 나갈 때와 다시 들어올 때를 모두 맞춰야 한다. 만일 적당한 시점에 시장에서 나갈 수 있었다 하더라고, 다시 들어올 때를 맞추지 못한다면, 피할 수 있었던 손실 이상의 비용을 감당하게 될 것이다.​

투자는 어렵다. 우리 뇌는 저축/투자한 돈의 가치가 크게 변동하는 모습을 참아내고, 향후 30년 동안 물가 상승의 영향을 이해할 수 있게 설계되지 않았다. 우리는 포트폴리오의 가치가 새롭게 최고치를 기록하면, 그것이 바로 포트폴리오의 진정한 가치인 양 세뇌된다. 그리고는 이후 포트폴리오의 가치가 하락하면, 그냥 “손실”로 받아들이고, 고통과 절망에 빠진다. 매일매일 변하는 주식 시장은 오르면 오르는 대로, 내리면 내리는 대로 우리를 흥분시킨다. 지난주 여러 주변 친지들에게 앞으로 어떡할 계획이냐는 전화를 받은 사람들이 많았을 것이다. 미국의 주가가 사상 최고치에서 고작 6% 빠졌을 뿐인데도 말이다. 그렇게 해서는 지난해 말 같은 20% 하락을 견뎌낼 수 없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장기 투자자에게 약세장은 반드시 필요한 존재이므로, 인내심을 갖고 뚫고 지나가는 수밖에 없다.​

자료 출처: The Belle Curve, "Selloffs, Trade Wars, Yield Curve Inversions .. Oh My!"

0
0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자유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969 자유 게시판 차트로 보는 세계 100대 기업 icon Work4Block 09-25 2,432
1968 자유 게시판 투자에서 섣부른 결론의 위험 icon Work4Block 09-25 2,187
1967 자유 게시판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려면, 채권 시장을 이해해야 한다. icon Work4Block 09-25 2,227
1966 자유 게시판 투자 전략으로서 8주 보유 규칙 icon Work4Block 09-25 2,293
1965 자유 게시판 시장 역사에 속지말라. 단기적인 결과가 장기적인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icon Work4Block 09-25 2,224
1964 자유 게시판 포트폴리오 다각화: 투자자의 감정적 행동을 막아주는 근본적인 해법 icon Work4Block 09-17 2,345
1963 자유 게시판 현금 vs. 투자 icon Work4Block 09-17 2,178
1962 자유 게시판 역사상 가장 위대한 투자자는 누구일까? icon Work4Block 09-06 2,250
1961 자유 게시판 초보 투자자가 저지르는 최악의 실수 icon Work4Block 09-06 3,039
1960 자유 게시판 무역 전쟁, 장단기 금리 역전, 주가 급락 - 장기 투자자라면? icon Work4Block 09-06 2,285
1959 자유 게시판 젊은 투자자라면 장단기 금리 역전과 경기 침체를 두려워 해서는 안 된다. icon Work4Block 09-06 2,259
1958 자유 게시판 세계 경제와 시장을 위태롭게 할 수 있는 10가지 “그레이스완” 사건 icon Work4Block 09-06 2,362
1957 자유 게시판 에라스무스에게 배우는 22가지 교훈 icon Work4Block 09-06 2,222
1956 자유 게시판 경기 침체가 찾아왔을 때, 투자자가 가져야 할 자세 icon Work4Block 09-01 2,211
1955 자유 게시판 2년/10년 금리 역전의 결과 - 1978년 이후 주식 시장은 어떤 반응을 보였을까? icon Work4Block 09-01 2,783
1954 자유 게시판 향후 10년 동안 어디에 투자해야 가장 좋을까? icon Work4Block 09-01 2,550
1953 자유 게시판 모든 투자자들이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은 가격이 아니라 구매력이다 icon Work4Block 09-01 2,314
1952 자유 게시판 찰리 멍거의 삶에서 배우는 용기와 희망의 이야기 icon Work4Block 09-01 2,398
1951 자유 게시판 제크가 주식 시장 변동성에 놀라지 않는 이유 icon Work4Block 09-01 2,337
1950 자유 게시판 마이너스(-) 금리 환경, 어떻게 투자할 것인가? icon Work4Block 08-26 2,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