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마이너스(-) 금리 환경, 어떻게 투자할 것인가?

미래를 예측하기란 불가능한 일이지만, 향후 10년 안에 미국도 다른 많은 선진 경제들처럼 마이너스(-) 금리 클럽에 가업할 가능성이 있으며, 그 확률은 75% 이상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

여기서 질문은 미국이 마이너스(-) 금리 시대가 되면 은퇴 자금을 어디에 넣어두어야 하느냐?입니다.

우선, 전 세계적으로 국채 금리가 마이너스(-)가 된 상황을 이해할 길은 없다. 한 번도 일어난 일이 없으며, 역사적으로 전례가 없는 사건이기 때문이다.​

금리 변동을 예측하기란 아주 어려운 일이지만, 다른 많은 선진국들처럼 미국 국채 역시 마이너스(-) 금리 시대로 들어가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생각이 점점 커지고 있다.​

올해 초 2.7%였던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가 이미 1% 대까지 하락했다.

image.png

아직 금리가 2016년 저점을 깨지는 않았지만, 올해 초 예측보다 훨씬 더 근접해 있다.​

연준은 아직 단기 금리를 2.00~2.25% 범위로 고정시켜놓고 있다. 개략적으로 추측해 보자면, 다음번 경기 침체가 일어나면 금리가 마이너스(-)로 떨어질 것이다.​

미래를 계획할 때 여러 시나리오를 놓고 분석해 두어야, 어떤 일이 일어나도 놀라지 않을 수 있다.​

몇 가지 생각 :​

좋은 투자 수익률을 올리기 위해서는 어떤 형태로든 시장 변동성을 받아들여야 한다. 다음은 여러 선진국의 10년 만기 국채 금리와 해당 국가 주식 시장의 배당 수익률을 비교한 것이다.

image.png

국채의 대안으로 주식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면 너무 큰 비약이다. 주식과 채권은 본질적으로 위험 특징아 아주 다른 자산이다. 투자자의 서양에 따라 회사채, 모기지 채권, 정크 본드, 우선주 등 다른 곳에서 소득원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이들 자산의 금리 역시 하락하고 있으며, TIPS를 제외하고 모든 채권이 인플레이션이라는 동일한 위험을 겪고 있다.​

조만간 이들 국가의 투자자들의 금리 상황에 따라 (a) 기대 수익률 재조정하거나 (b) 기존 기대 수익률을 유지하려면, 위험 자산의 비중을 높여 포트폴리오의 변동성을 더 기꺼이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주식 시장의 변동성 다시 생각해야 한다. 주식 시장에서 가장 저평가된 요소 중 하나가 배당금이다. 투자 총 수익률 계산에서 심리 회계를 편향을 극복해 배당금과 주가를 분리해 생각할 수 있다면, 배당금은 고유한 소득원이 될 수 있다.

image.png

위 차트는 1926년 이후 배당금과 주가 측면에서 S&P 500의 성장 추세를 보여준다. 배당금이 훨씬 더 부드럽게 증가 추세를 보였음을 알 수 있다. 배당금과 주가를 분류해보면 다음과 같다.

image.png

주식 시장 수익률의 두 하위 요소인 주가 상승과 배당금 증가는 비슷하지만, 변동성 면에서 주가가 배당금보다 4배 더 높았다. 이를 다른 방식으로 살펴볼 수 있다.

image.png

시장이 붕괴되더라도 배당금은 주가만큼 크게 하락하지 않는다. 달리 말하면 주가는 펀더멘탈보다 훨씬 더 크게 오락가락할 수 있다는 의미다. 배당금이 두 자릿수로 하락한 경우는 2007~2009년이 유일했다. 당시 배당금은 24% 하락했지만, 56% 이상 하락한 주가에 비하면 절반도 되지 않는 수준이었다.​

배당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물가 상승률을 넘어서는 수익을 제공하는 몇 안 되는 소득원 중 하나다. 1926년 이래, S&P 500의 배당금은 연간 약 5%의 비율로 증가한 반면, 물가 상승률은 약 2.9%였다.​

분명, 배당금 증가율의 변동성은 채권 시장에서 보다 더 높았다.​

하지만 포트폴리오의 주식 비중에서 나오는 배당금을 소득원으로 생각할 수만 있다면, 배당금이 주가 변동성보다 훨씬 더 안정적이다.​

채권을 이자가 아니라 보호 수단의 측면에서 바라봐야 한다. 금리가 바닥을 길 때면 주식 시장이 더 중요해지지만, 그렇다고 채권이나 현금을 모두 주식에 투자해서는 안 되며, 여전히 보호 수단이라는 측면에서 고려해야 한다.​

대부분의 투자자는 채권을 이자 또는 소득원의 대상으로 생각한다. 그리고 그래서 안 될 이유는 없다. 채권 수익률의 대부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격 상승이 아니라 시작 금리에서 나온다.​

마이너스(-) 금리 세계에서는 채권에 대한 생각 방식을 바꿔야 한다. 채권은 항상 주식 시장 하락 시 충격 흡수 장치 역할을 해왔지만, 금리가 정상에서 벗어날 때가 그 중요성이 더 높아진다.​

채권은 주식 시장이 불가피한 하락을 겪을 때 비중을 재조정하게 해주는 실탄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채권은 과거와 같이 높은 수익을 제공하지 않더라도, 투자라는 사업을 계속 진행할 수 있게 해준다.​

지금은 투자하기 쉬운 시절이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마이너스(-) 금리 세상이 어떤 의미인지 아는 사람은 없다. 지금까지 한 번도 이런 상황이 빚어진 적이 없기 때문이다. 시장 환경은 언제나 다르지만, 지금의 환경은 과거 대부분의 경우보다 훨씬 더 다를 수 있다.​

이에 대한 쉬운 해결책은 없다. 더 높은 수익을 얻으려면 어떤 형태로든 더 큰 변동성을 받아 들여야 한다. 안정성을 우선으로 두고 싶다면, 낮은 수익을 받아들여야 한다.​

이러한 위험-보상관계는 어느 시절이나 마찬가지였지만, 안정성을 대가로 한 수익은 과거 그 어느 때보다 크게 낮아졌다. 미국의 국채 금리가 마이너스(-)가 되면, 괜찮은 채권 가격 상승으로 수익을 노려볼 수도 있다. 하지만 결국 금리가 상승하면, 장기 국채 투자자들은 다시 좋은 금리 수익을 얻게 될 것이다.​

투자자들은 5~6%의 무위험 수익률을 쉽게 얻길 바라지만, 지금은 요원한 상황이다. 투자자는 자신이 원하는 방식이 아니라, 시장이 원하는 방식으로 투자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투자자는 포트폴리오의 위험에 대한 인식의 틀을 바꿀 필요가 있다.​

자료 출처: A Wealth of Common Sense, "Investing in a Negative Interest Rate World"

0
0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자유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949 자유 게시판 향후 10년 동안 어디에 투자해야 가장 좋을까? icon Work4Block 08-26 2,493
1948 자유 게시판 시장 변동성, 이렇게 대처하라 icon Work4Block 08-26 2,486
1947 자유 게시판 오늘날에도 통하는 벤저민 그레이엄의 투자 원칙 icon Work4Block 08-21 2,511
1946 자유 게시판 복리를 친구로, 버핏처럼 icon Work4Block 08-21 2,394
1945 취업&면접 후기 미중 무역 전쟁, 또 한 번 대두 생산 지형을 변화시키다 icon Work4Block 08-21 2,615
1944 자유 게시판 전면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미중 무역 전쟁 icon Work4Block 08-21 2,411
1943 취업&면접 후기 섣불리 가치 투자가 죽었다고 선언해서는 안 된다. icon Work4Block 08-21 2,424
1942 자유 게시판 정기 정액 적립식 전략 vs. 시장 타이밍 전략 icon Work4Block 08-21 2,417
1941 자유 게시판 시장 침체 시기의 가치 투자 - 세스 클라만 icon Work4Block 08-21 2,505
1940 자유 게시판 보수적인 투자자가 약세장에 더 합리적으로 대응한다. icon Work4Block 08-21 2,330
1939 자유 게시판 왜 주식 시장은 하락하는가? 그리고 행동 강령 icon Work4Block 08-21 2,299
1938 자유 게시판 디드로 효과 - 왜 우리는 필요 없는 물건을 사고 싶어 할까? icon Work4Block 08-14 2,400
1937 자유 게시판 투자는 균형 잡기다 icon Work4Block 08-13 2,548
1936 자유 게시판 성공 투자, 불확실성과 함께해야 가능하다 icon Work4Block 08-13 2,363
1935 자유 게시판 앞으로 10년 동안 하락장이 이어진다면? 젊은 투자자들이여 환호하라! icon Work4Block 08-13 2,368
1934 자유 게시판 나쁜 기업에게 시간은 적이다 icon Work4Block 08-13 2,564
1933 자유 게시판 분식 회계를 찾아내라 - 애널리스트 게리가 OM 그룹의 분식 회계에서 얻은 교훈 icon Work4Block 08-13 2,581
1932 자유 게시판 경제 뉴스, 어떻게 읽을 것인가? icon Work4Block 08-13 2,352
1931 자유 게시판 일본의 부채 규모와 문제 icon Work4Block 08-13 2,376
1930 자유 게시판 기술적 분석에 대한 폴 튜더 존스의 통찰 icon Work4Block 08-13 2,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