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해외 주식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

0.gif

타임머신을 타고 2007년으로 돌아갔다고 해보자. 다음 차트는 2003년부터 당시까지 미국 주식과 해외 주식의 수익률을 비교한 모습이다:

image.png

미국 주식의 수익률은 변변치 않았던 반면, 해외 주식의 수익률은 아주 높았다. 2007년 이후 양자의 위치가 바뀌었고, 미국 주식이 훨씬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image.png

아래 차트는 지난 50년간 미국 및 해외 주식의 수익률을 보여줍니다:

image.png

많은 투자자들은 포트폴리오를 들여다보면서, "지난 몇 년 동안 저조한 수익률을 기록한 해외 주식을 왜 보유하고 있었을까?"라는 의문을 가질지 모른다. 현재의 투자 심리는 2000년대 중반과는 정반대다. 당시에는 해외 투자와 브릭스(BRICs) 국가들의 고속 성장에 대한 낙관론이 아주 컸었다. 투자 심리는 수익률에 반영되기 마련이기 때문에, 2000년대 중반 해외 주식의 수익률도 높았다.

계획이 없는 투자자는 일반적으로 과거 수익률이 좋았던 주식을 매수하곤 한다. 이런 성과를 쫓아다니는 행동이 만성적으로 저조한 수익률을 가져온다. 이 글의 목적은 해외 주식을 “왜” 보유해야 하며, “어느 정도” 보유해야 하는지 설명하는 것이다.

포트폴리오 다각화

해외 주식을 보유하는 주된 이유는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을 최대한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함이다. 인덱스 펀드 투자자들은 "어떤 개별 주식 또는 채권이 가장 좋은 수익률을 올릴지 모르기 때문에, 그냥 전체 주식을 보유하는 것이 제일 낫다."라는 생각을 갖고 있다. 데이터도 이러한 투자 철학이 타당하다고 말해준다. 지난 9년 연속으로 인덱스 펀드의 수익률이 평균 뮤추얼 펀드보다 더 좋았다.

주식 시장 수익률 대부분은 소수의 수익률이 엄청난 주식들로부터 비롯된다. 이런 주식을 미리 알아볼 확률은 아주 낮다.

image.png

지난해 한 연구에 따르면, 1926년 이래로 CRSP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보통주 7개 당 4개가 일생 동안의 수익률이 1개월 만기 국채보다도 낮았다고 한다. 무위험 국채보다 위험한 주식 중 50% 이상이 프리미엄은 고사하고, 국채보다도 수익률이 낮았다는 말이다. 적극적으로 주식을 선별해 투자하는 뮤추얼 펀드가 저조한 수익률을 올리는 주된 이유 중 하나는 수익률을 좋은 주식은 소수에 불과하고, 그런 주식을 골라낼 확률이 낮기 때문이다. 높은 수수료 또한 인덱스 펀드의 수익률을 넘어서는 데 있어 높은 장애물이다.

따라서 인덱스 펀드 투자자들은 건초 더미에서 바늘을 찾기보다는 건초 더미 전체를 사는 편을 택하는 것이다. 하지만 미국의 주식 인덱스 펀드에만 투자해서는 건초 더미 전체를 샀다고 할 수 없다. 아래 차트는 글로벌 주식 시장에서 미국 주식의 비중이 약 절반임을 보여준다.

image.png

평균 미국 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에서 미국 주식의 비중은 79%이며, 글로벌 시장에서 미국 주식의 비중 51%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image.png

미국 주식과 해외 주식 간에 최적의 비중은 오로지 나중의 수익률로만 평가할 수 있다. 실제 투자자 자신이 장기적으로 고수해 나갈 수 있는 배분이 가장 좋다고 할 수 있다. 글로벌 주식 시장의 비중으로 볼 때, 미국 주식("VTI" ETF)과 해외 주식("VXUS" ETF)을 50 대 50으로 보유하는 것도 타당하다.

저렴한 주가 수준

현재 미국 주식과 해외 주식의 주가 수준을 보면, 향후 10년 동안은 해외 주식의 수익률이 미국 주식보다 좋을 가능성이 높다. 아래 차트는 지난 20년 동안 해외 주식의 가치가 미국에 비해 이렇게 낮은 적이 없었음을 보여준다:

image.png

또한 해외 주식은 절대적 기준으로도 저렴한 수준이다. 일본, 독일 및 호주 같은 주요 해외 주식 시장은 현재 20배 미만의 CAPE 배수로 거래되고 있다. 아래 차트는 출발 주가 수준(x축)과 미래의 장기 수익률(y 축) 간의 강한 역사적 관계를 보여준다. .

image.png

투자자들은 때로 가치 평가를 할 때 사소한 것에 사로잡히곤 한다. 최적의 주가 수준으로, 최적의 진입 시점을 찾으려고 한다. 주가 수준과 수익률 간의 큰 그림은 아주 분명하다. 비싼 주가 수준은 투자자들의 과도한 낙관론이 반영된 것이고, 언젠가는 다시 내려오기 마련이다. 반대로 싼 주가 수준은 투자자들의 비관론이 반영된 것이고, 언젠가는 다시 오르기 마련이다.

아래 GMO에서 내놓은 표를 보면, 애널리스트들이 향후 해외 주식의 수익을 얼마나 비관적으로 보고 있는지 알 수 있다.

image.png

주가 수준을 바탕으로 시장 진입 시점을 잡기란 아주 어려운 일이다. 비싼 주가 수준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오래 이어질 수 있고(예를 들어, 1996년부터 1999년까지),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예를 들어, 1975년부터 1982년까지).

인플레이션 방어 수단

연구에 따르면, 해외 주식은 역사적으로 미국 주식보다 효과적인 인플레이션 방어 수단 역할을 했다.

아래 차트가 한 예다. 이 차트는 1970년대 연평균 수익률을 보여준다.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연평균 7.1%였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면 실제 미국 주식의 수익률은 마이너스로 떨어진다. 당시 해외 주식의 좋은 수익률은 주로 미국 달러 하락 덕분이었다.

image.png

요약

해외 주식은 다음 세 가지 이점이 있다.

포트폴리오 다각화

저렴한 주가 수준(적어도 지금까지는)

인플레이션 방어 수단

자료 출처: Movement Capital, "Summarizing the case for international stocks"

0
0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자유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769 자유 게시판 하신토의 황금 - 스위스 금고 남긴 유산을 찾아라 2부 icon Work4Block 04-17 2,720
1768 자유 게시판 21세기 최고의 수익률을 기록 중인 주식은? icon Work4Block 04-17 2,477
1767 자유 게시판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 그저 살아남으라 icon Work4Block 04-17 2,386
1766 자유 게시판 하신토의 황금 - 스위스 금고 남긴 유산을 찾아라 1부 icon Work4Block 04-16 2,261
1765 자유 게시판 미국 대두 농가, 중국발 돼지 열병의 가장 큰 희생자 icon Work4Block 04-16 2,347
1764 자유 게시판 매월 몇 만 원이라도 투자해야 하는 이유? icon Work4Block 04-16 2,347
1763 자유 게시판 기업 실적 평가에 전년 동기 대비가 필요한 이유 icon Work4Block 04-15 2,452
1762 자유 게시판 미래 에너지 시스템에서 수소의 역할 icon Work4Block 04-15 2,330
1761 자유 게시판 세계에서 가장 바쁜 항공 노선은? icon Work4Block 04-15 2,484
1760 자유 게시판 재귀성은 시장 어디에나 존재한다 icon Work4Block 04-14 2,823
1759 자유 게시판 왜 투자자들은 IPO에 투자하고 싶은 유혹을 떨치지 못할까? icon Work4Block 04-14 2,434
1758 자유 게시판 재산 성장 과정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하는 것은? icon Work4Block 04-14 2,372
1757 자유 게시판 해외 주식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 icon Work4Block 04-14 2,695
1756 자유 게시판 치열해지고 있는 스마트 스피커 시장 icon Work4Block 04-14 2,791
1755 자유 게시판 숫자로 보는 미국 대마초 합법화의 영향 icon Work4Block 04-14 2,386
1754 자유 게시판 필립 피셔 - 좋은 기업을 매수 후 보유하라 icon Work4Block 04-14 2,462
1753 자유 게시판 배당금이 공짜라는 오류에 빠지지 말라 icon Work4Block 04-14 2,400
1752 자유 게시판 레이 달리오 - 투자의 첫걸음은 저축이다 icon Work4Block 04-11 3,088
1751 자유 게시판 조엘 그린블라트 - 시장을 이기는 두 가지 비결 icon Work4Block 04-10 2,591
1750 자유 게시판 배당금, 시장에서 역할이 줄어들고 있는 이유? icon Work4Block 04-10 2,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