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저조한 ICO 시장과 질적변화
저조한 ICO (신규 동전공개) 시장과 질적변화
4/4(목)8:41전달 NRI연구원의 시사 해설
NRI연구원의 시사해설
한때 활황을 보였던 ICO(신규 동전공개) 시장은 현재 매우 침체된 상황이다.TokenData의 조사에 따르면 2019년 제1분기에 ICO을 통한 자금 조달 규모는 세계 전체에서 1.2억달러 정도로 이는 2018년 이 시기의 69억달러와 비교하면 무려 60분의 1이하 수준이다.월별 조달액을 보면 피크는 2018년 2월 25억달러 초과인, 이후 거의 달이 갈수록 자금 조달액은 저하되어 왔다.ICO에서 이용되는 디지털 권리증인 토큰의 시가 총액은 피크에서는 240억달러 정도에 달했지만, 현재는 50억달러까지 감소했다고 한다(주 1).
TokenData에 따르면 2017년 이후에 확인된 2,500건의 ICO프로젝트 중 55%정도는 자금 조달에 실패하고 있다. 또 자금 조달에 성공한 ICO중에서도 현재의 토큰의 가격이 발행 시 가격을 웃돌고 있는 것은 15%에 불과하다는 것.ICO을 통해서 기업이 자금을 조달할 수 있으며 그것을 구입한 투자가가 이득을 볼 수 있을 확률은 높지 않다.미국 증권 거래 위원회(SEC)등 금융 당국의 ICO에 대한 규제 강화와 가상 통화 시장 침체의 2개가 ICO시장이 부진한 주요 배경이다.ICO는 새로운 자금조달 수단을 기업에 제공하고 사기 등 범죄로도 이용된다.거기서, 일본의 금융청도 포함해 세계의 금융당국은, 그 대응에 골치를 썩여 왔다.그러나 만약 이대로 ICO 시장이 추가 축소에서 소멸로 향한다면 규제상 어려운 문제도 자연스럽게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
시큐러티 토큰에는 증가의 여지.
ICO는 2014년에 시작되었다고 여겨지지만, 널리 인지된 것은 2017년이다.그리고 ICO가 활황이 되면 SEC는 ICO에서 이용되는 토큰 중 일부는 증권법이 적용되는 증권이라며 규제 움직임을 강화해 나갔다.
세계의 금융당국은 비트코인 등을 가상통화(Crypto currency)라고 부르지 않고 암호자산(Crypto asset)이라고 부르게 되어 있다.이것은, 비트 코인 등은 결제 수단으로서의 이용이 한정되어 있어 통화라는 명칭에는 가격하지 않는다는 생각에 근거할 것이다.
그 것과 동시에, ICO의 토큰에 대해서는, 유가증권이라고 자리 매김을 해 가, 증권법으로 규제해 나가는 방향성일 것이다.일본에서 말하면, 자금 결제법에 근거하는 규제로부터, 금융상품거래법에 근거하는 규제로 이행해 가는 것은 아닌가.
ICO 시장은 침체해 버렸지만, 보다 유가증권에 가까운 성격의 ICO의 토큰에 대해서는, 향후 발행이 증가할 여지는 있을지도 모른다.ICO의 토큰은 크게 2가지로 나누는 듯하다.제1은 기업 자금 조달 수단으로서, 특정 서비스를 받는 혜택은 붙지만 담보의 뒷받침과 배당 등은 없다"유틸리티 토큰" 제2는 원산 또는 배당과 금리 등의 리턴이 있다"보안 토큰"이다(주 2).전자는 일반적인 타입의 토큰인 가상 화폐 시장의 활황과 함께, 토큰의 가격 상승 기대에 힘입어 증가했다.그러나, 극히 발밑에서 가격이 상승했다고는 해도, 향후도 가상 통화 시장이 침체 기조를 더듬는다면, 그 발행 여지는 한정될 것이다.이에 비해 후자는 보다 가치가 뒷받침되고 유가증권에 가까운 성격이다.
후자의 시큐러티·토큰은 해외에서만 발행되고 있어 현재는 국내에서의 발행 실적은 없다.그러나 앞으로는 가치가 보다 명확한 이 시큐러티 토큰의 발행이 증가할 여지는 있을 것이다.그것이 정식으로 유가증권으로 간주되어 금융상품거래법의 규제 대상이 되면, 현재의 가상화폐 거래업자는 취급할 수 없게 될 것이다.이것을 예측하고, 지금 안에 증권업의 등록을 얻고자 하는 가상 통화거래업자가 벌써 나오고 있다고 한다.
ICO 시장은, 꽤 침체한 상황이 되고 있지만, 그 성격을 바꾸면서, 더욱 진화해 갈 가능성은 남아 있을 것이다.
(주 1)"Crypto Boom Goes Bust for Initial Coin Offerings", Wall Street Journal, April 1, 2019
(주 2)"가상 화폐 업계 증권 참가에 주력 ICO규제 강화 협상", 닛케이 QUICK뉴스, 2019년 3월 20일
키우치 토에이(노무라 종합 연구소 이그제큐티브 이코노미스트)
---
이 기사는 NRI 금융IT 솔루션 사이트의 [목내등영의 Global Economy & Policy Insigo(http://fis.nri.co.jp/ja-JP/knowledge/commentary/category/kiuchi.html)에 게재된 것입니다.
키우치토시에
低迷するICO(新規コイン公開)市場と質的変化
一時期は活況を呈していたICO(新規コイン公開)市場は、現在、非常に低迷した状況となっている。TokenDataの調査によれば、2019年第1四半期に、ICOを通じた資金調達額は世界全体で1.2億ドル程度で、これは2018年の同時期の69億ドルと比べて、実に60分の1以下の水準だ。月ごとの調達額をみると、ピークは2018年2月の25億ドル超であり、それ以降、ほぼ月を追うごとに資金調達額は低下してきている。ICOで用いられるデジタル権利証であるトークンの時価総額は、ピークでは240億ドル程度にまで達したが、現在では、50億ドル程度まで減少したという(注1)。
TokenDataによると、2017年以降に確認された2,500件のICOのプロジェクトのうち、55%程度は資金調達に失敗している。また、資金調達に成功したICOの中でも、現在のトークンの価格が発行時の価格を上回っているものは15%に過ぎないという。ICOを通じて企業が資金を調達でき、それを購入した投資家が利益を得ることができる確率は高くない。米証券取引委員会(SEC)など金融当局によるICOへの規制強化と、仮想通貨市場の低迷の2つが、ICO市場が不調である主な背景だ。ICOは、新たな資金調達手段を企業に提供する一方、詐欺などの犯罪にも利用される。そこで、日本の金融庁も含めて世界の金融当局は、その対応に頭を悩ませてきた。しかし、仮に、このままICO市場がさらなる縮小から消滅へと向かえば、規制上の難しい問題も自然に解消に向かおう。
ICOは2014年に始まったとされるが、広く認知されたのは2017年のことだ。そしてICOが活況になると、SECはICOで用いられるトークンの一部は証券法が適用される証券であるとして、規制の動きを強めていった。
世界の金融当局は、ビットコインなどを仮想通貨(Crypto currency)と呼ぶのをやめ、暗号資産(Crypto asset)と呼ぶようになっている。これは、ビットコインなどは決済手段としての利用が限られており、通貨との名称には値しない、との考えに基づくのだろう。
それとともに、ICOのトークンについては、有価証券と位置付けていき、証券法で規制していく方向性なのだろう。日本で言えば、資金決済法に基づく規制から、金融商品取引法に基づく規制へと移行していくのではないか。
ICO市場は低迷してしまったが、より有価証券に近い性格のICOのトークンについては、今後発行が増加する余地はあるのかもしれない。ICOのトークンは大きく2つに分けられるようだ。第1は、企業の資金調達の手段として、特定のサービスを受ける特典は付くものの、担保の裏付けや配当などはない「ユーティリティー・トークン」、第2は、原資産または配当や金利などのリターンがある「セキュリティー・トークン」だ(注2)。前者は、一般的なタイプのトークンであり、仮想通貨市場の活況とともに、トークンの価格上昇期待に支えられて増加した。しかし、ごく足元で価格が上昇したとはいえ、今後も仮想通貨市場が低迷基調を辿るのであれば、その発行余地は限られるだろう。これに対して後者は、より価値の裏付けがあり有価証券に近い性格のものだ。
後者のセキュリティー・トークンは海外でのみ発行されており、今のところは国内での発行実績はない。しかし今後は、価値がより明確であるこのセキュリティー・トークンの発行が増加する余地はあるだろう。それが正式に有価証券とみなされ、金融商品取引法の規制対象となれば、現在の仮想通貨取引業者は扱えなくなってしまうだろう。これを見越して、今のうちに証券業の登録を得ようとする仮想通貨取引業者が既に出てきているという。
ICO市場は、かなり低迷した状況になっているが、その性格を変えながらも、なお進化していく可能性は残されているだろう。
(注1)“Crypto Boom Goes Bust for Initial Coin Offerings“, Wall Street Journal, April 1, 2019
(注2)「仮想通貨業界、証券業参入に本腰 ICO規制強化にらみ」、日経QUICKニュース、2019年3月20日
木内登英(野村総合研究所 エグゼクティブ・エコノミスト)
---
この記事は、NRI金融ITソリューションサイトの【木内登英のGlobal Economy & Policy Insight】(http://fis.nri.co.jp/ja-JP/knowledge/commentary/category/kiuchi.html)に掲載されたものです。
木内 登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