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Inflation과 Global 경제
- Work4Block
- 0
- 2,296
- 0
- 0
- 글주소
- 01-06
금융위기 이후 10년 만에 처음으로 작년은 인플레 갭을 맞은 해이다. 불확실성이 일반적인 현상이 되고 종전의 이론이 통하지 않는 New Normal 시대에 인플레이션과 관련한 새로운 용어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그중 하나가 스크루플레이션이다. 스크루(Screw)는 쥐어짠다는 의미이다. 2019년에 역시 가장 우려되는 경제현상이 부채와 인플레이션이라고 한다.
금년의 화두
1980년대 초반 이후 35년여 만에 세계 예측기관의 전망보고서에는 인플레이션에 할애된 부문이 가장 많다고 한다. 부채와 함께 인플레이션은 지난 10년 동안 돈을 풀어 금융위기를 극복한 초(超)금융완화 정책의 대표적인 After Shock(후유증)에 해당한다. 세계 총부채는 164조$(18경원)에 달하는바 이는
세계 총소득 대비 225%로 금융위기 발생 직전에 비해 무려 12%나 급증한다. 금년엔 세계경기 10년 호황국면이 종료되면서 소득마저 늘어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위기상황이 된 부채문제가 화두가 될 가능성이 높은 한해가 될 것으로 많은 예측기관이 전망한다.
인플레이션 종류
인플레이션은 다양하게 분류된다. 원인 제공에 따라 경기과열로 인한 수요견인(Demand Pull) 인플레이션과 임금과 유가 상승 등이 원인인 Cost Push(‘비용인상) 인플레이션으로 나뉜다. 증시입장에선 경험상 前者가 後者보다 주가상승에 도움이 된다. 다른 한편 물가가 완만하게 오르는 Mild 인플레이션과 하루가 다르게 뛰는 Hyper 인플레이션으로 상승속도에 따라 구분한다.
前者는 경제 의욕을 북돋는다는 시각에서 경제활동에 도움이 되는 반면에 後者는 베네수엘라처럼 자국국민에게 큰 고통을 준다. 그리고 거시경제의 성장관점에서 경기침체下에 물가가 올라가는 Stagflation과 고성장하더라도 물가가 안정되는 新경제 국면 혹은 골디락스로 구분한다.
증시에선 前者의 발생은 최대 악재, 後者의 발생은 최상의 호재로 진단한다. 대표적으로 1980년대 초, 1990년대 후반의 美증시를 後者의 예로 들 수 있다. 스태그플레이션과 비슷한 의미를 갖고 있지만 구별되는 개념으로 스크루플레이션(Screw-flation)이 존재하는바 이는 미시적인 차원에서 쥐어짤 만큼 일상생활이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체감물가가 올라가는 현상을 말한다.
(위 그림은 참고용이며 美개인소비자지출 물가흐름을 나타낸 선형그래프이다. 여타 국가와는 달리 미국은 물가목표인 2%에 도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인플레이션과 세계경제
美경제에 대해 준(準)Stagflation 가능성을 지적하는바 이는 극심한 스태그플레이션에 시달리던 1980년대 초반보다 못하지만 성장률이 잠재수준 밑으로 떨어지고 소비자물가는 더 올라갈 것으로 보는 입장이다. 유럽과 일본의 경제도 마찬가지다. 다른 신흥국은 작년 상반기부터 Stagflation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中경제도 이런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 對美통상마찰 부담과 3대 고질병(그림자 금융, 高부채, 부동산 거품) 문제로 2019년 성장률을 6%대 초
반까지 내려 잡고 있다. 하지만 물가는 지급준비율 인하 등 유동성공급 등을 통해 작년 추진한 경기부양책에 돼지열병 확산(Black Swan)까지 겹쳐 금년에는 의외로 크게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베네수엘라는 작년 성장률이 20% 가깝게 급락하고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50만%에 달해 국민의 20%가 조국을 등질만큼 최악의 경제파탄을 겪고 있다. 아르헨티나 터키, 파키스탄 등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신청한 국가도 Stagflation 조짐이 뚜렷하다.
인플레이션과 韓경제
韓경제는 2019년 Screw-flation을 겪을 대표적 국가로 예상된다고 한다. 가계부채는 1,500조원을 넘어 세계 10대 高위험군에 속한 지 오래다. 문제는 부채증가 속도가 세계 최고수준인 점이다. 금년 성장률은 2%대 초반까지 떨어질 것으로 보는 예측기관이 많다. 하지만 국민이 느끼는 체감물가는 뛰기 시작하고 금년에는 더 올라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Screw-flation은 국민의 경제고통지수(실업률+물가상승률−성장률)를 급격히 높인다는 특징이 존재한다.
손에 들어오는 소득이 줄어 쥐어짜더라도 체감물가가 올라 외환위기 때보다 살기가 더 어렵다는 목소리가 들리고 있다. 어제 밤 KBS측에서 진행한 소득재분배에 대한 토론프로를 보니 이런 현상이 현실적으로 더욱 실감이 난다. 한마디로 소득격차가 너무 커서 많은 국민들이 희망을 상실한 채 살고 있음을 느낀 시간이다. 그런데도 정치권과 정책당국 소위 칼자루 쥔 사람들은 손 놓고 있다는 참석자들의 평가다. 대책이 시급하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