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단지 종류가 증가하는 만큼 가상화폐에 미래는 있는가?
단지 종류가 증가하는 만큼 가상화폐에 미래는 있는가?
11/12(월)6:30 전달 Forbes JAPAN
shutterstock.com
가상 통화(암호 자산)의 현상에 대해서, 중앙은행이나 감독 당국의 모임인 금융안정 이사회(FSB)가 지난 달, 정리된 보고서를 공표했다.일본 은행의 웹 사이트에서도 액세스 가능하며, 관심 있는 쪽은 읽어 주셨으면 한다.
가상화폐는 현재 각국의 투기대상이며 지불결제 수단으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앞서 언급한 FSB 보고서는 역사상 유명한 거품, 예를 들어 튤립 버블, 남해포말사건(사우스시 버블) 등과 비교했을 때 지난해 가상화폐의 가치변동은 역사상 어떤 가치변동도 있었다.
누구나 갖고 있으면 가격이 오를 수 있는 물건을 지불에 사용하고 싶지 않고, 가격이 내릴 수도 있는 물건을 받고 싶지는 않다.또, 통화는 원래 정보 처리를 효율적으로 하는 것이지만, 자신 자신의 가치 변동이 심한 것으로는, 그러한 기능을 완수하는 것은 어렵다.즉, 가상화폐가 투기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은 지불 수단으로서 사용되기 어려운 것과 배후의 관계에 있다.
가상화폐가 지불에 사용되기 어려운 이유에 대해서는 다른 각도의 설명도 가능하다.가상화폐는 지불수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신뢰"를 제로로부터 만들 필요가 있으며, 그 때문에 상당한 코스트가 든다.비트코인의 경우에는 마이닝을 위한 막대한 전력소비가 이에 해당한다.
한편, 중앙은행은, 이미 확립된 신뢰를 기초로, 통화를 스스로의 채무로서 저렴한 한계 코스트로 발행할 수 있다.이 때문에, 가상 통화가 엔이나 달러, 유로라고 하는 소블린 통화를 이기는 것은, 하이퍼 인플레등에 의해 소블린 통화에의 신뢰가 없어진 나라도 아닌 한, 꽤 어려울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 있지만, 발행되는 가상 통화의 종류는 더욱 증가하고 있다.이 중에는 발행이익 획득을 위해 발행되는 것도 계속 많지만 스테이블(안정적) 동전을 주창하는 문구가 늘고 있는 것도 최근의 특징이다.
"스테이블 코인"에는, 소블린 통화를 증표 자산으로 하는 USC(Utility Settlement Coin) 등 다양한 것이 있다.이것을 "신뢰를 만드는 코스트"라고 하는 관점에서 보면, USC는, 중앙은행등이 이미 가지는 신뢰를 이용하는 것으로, 신뢰 구축의 코스트를 인하하려고 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중앙은행이나 금융당국, 나아가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스테이블"이라고 하는 말이 단순한 선전 문구가 아니고, 제대로 된 스킴에 근거하고 있는지 어떤지를 살펴 갈 필요가 있다(적어도, "하락은 하지 않지만 가격 상승하기 어렵다"라고 하는 좋은 가상 통화는 등,
예를 들어, "소버린화폐를 증인으로 하고 있다"고 한다면, 그러한 소버린통화가 잘 보관되어 있는지가 중요한 포인트가 된다. 그리고, 이러한 시점은 결국, 예금의 건전성을 보는 시점에도 가까워진다.
결국 기존 지불 수단과 달라지지 않을까?
정보처리와 신뢰구축의 효율성은 법제도나 세제, 문화, 역사 등 경제사회를 구성하는 인프라 전체와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다.
중앙은행은 근대 국민국가의 산물이지만 이 틀에서 앵커가 되는 중앙은행과 은행 등 복수의 민간주체가 협력하면서 공통의 소버린 통화표시 지불수단을 공급하는 구조가 마련되어 왔다.이러한 구조가 정보처리나 신뢰구축이라는 점에서 나름대로 효율적이었기 때문에 각국은 모두 이 구조를 채택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완전히 분권적인 가상화폐라는 발상은 그 자체는 흥미롭다.그러나 현실세계에서는 미중 무역문제나 브레이크짓 등 오히려 국경이나 국민국가의 틀 재강화를 지향하는 듯한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이와 같이, 현상의, 국민 국가를 전제로 하는 골조가 기본적으로는 유지되고 있는 가운데, 가상 통화만이 분권적인 구조를 채택하려고 해도, 정보처리나 신뢰 구축의 코스트가 튀어 오르는 것은 피하기 어렵다.
현재 붐은 가라앉지만 종류는 여전히 증가하고 있는 가상화폐이지만 이 가운데 발행이익에 맞춰 발행되고 있는 대부분의 가상화폐는 지급수단에도 본격적인 투자대상이 되지 않은 채 끝날 가능성이 높다.
만일, 가까운 장래에 지불 수단으로서 어느 정도 사용되는 가상 통화가 나타난다고 하면, 그것은 당초 상정된 완전한 분권형이 아니고, 기존에 있는 신뢰를 이용함으로써 신뢰 구축의 비용 경감이나 가치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야마오카히로미
ただただ種類が増えるばかり 仮想通貨に未来はあるか?
仮想通貨(暗号資産)の現状について、中央銀行や監督当局の集まりである金融安定理事会(FSB)が先月、まとまった報告書を公表した。日本銀行のウェブサイトからもアクセス可能であり、ご関心のある向きはご一読頂ければと思う。
仮想通貨は今のところ、各国において概ね投機の対象であり、支払決済の手段としてはほとんど使われていない。上述のFSB報告書は、歴史上の有名なバブル、例えば、「チューリップ・バブル」や「南海泡沫事件(サウス・シー・バブル)」などと比べた上で、昨年の仮想通貨の価値変動は、歴史上のいかなるバブルより大きかったことを示している。
誰も、持っていれば値上がりが見込めるモノを支払に使いたくないし、値下がりしかねないモノを受け取りたくはない。また、通貨はそもそも情報処理を効率的にするものだが、自分自身の価値変動が激しいモノでは、そうした機能を果たすことは難しい。すなわち、仮想通貨が投機の対象となっていることは、支払手段として使われにくいことと裏腹の関係にある。
仮想通貨が支払に使われにくい理由については、別の角度からの説明も可能である。仮想通貨は、支払手段にとって最も重要な「信頼」をゼロから作る必要があり、そのために相当なコストがかかる。ビットコインの場合には、マイニングのための莫大な電力消費がこれにあたる。
一方、中央銀行は、既に確立済みの信頼をもとに、通貨を自らの債務として、低廉な限界コストで発行できる。このため、仮想通貨が円やドル、ユーロといったソブリン通貨に勝つことは、ハイパーインフレ等によりソブリン通貨への信頼が失われた国でもない限り、なかなか難しいだろう。
こうした状況にありながら、発行される仮想通貨の種類は、なお増え続けている。この中には、発行益の獲得を狙って発行されるものも引き続き多いが、「ステーブル(安定的な)コイン」を謳い文句とするものが増えていることも、最近の特徴だ。
「ステーブルコイン」には、ソブリン通貨を裏付け資産とするUSC(Utility Settlement Coin)などさまざまなものがある。これを「信頼を作るコスト」という観点からみると、USCは、中央銀行などが既に持つ信頼を利用することで、信頼構築のコストを引き下げようとするものと言える。
この中で、中央銀行や金融当局、さらに消費者の立場からは、「ステーブル」という言葉が単なる宣伝文句ではなく、きちんとしたスキームに基づいているのかどうかを見ていく必要がある(少なくとも、「値下がりはしないが値上がりはする」といった都合の良い仮想通貨は考えにくいし、本当に「ステーブル」ならもはや投機の対象にはなりにくい)。
例えば、「ソブリン通貨を裏付けにしている」と謳われているならば、そうしたソブリン通貨がしっかり保管されているのかが重要なポイントとなる。そして、このような視点は結局、預金の健全性をみる視点にも近づいてくる。
結局、既存の支払い手段と変わらなくなる?
情報処理や信頼構築の効率性は、法制度や税制、文化、歴史など、経済社会を構成するインフラ全体と切り離して考えることはできない。
中央銀行は近代国民国家の産物であるが、この枠組みのもと、アンカーとなる中央銀行と、銀行など複数の民間主体が協力しながら、共通のソブリン通貨建てによる支払手段を供給する仕組みが作られてきた。このような仕組みが、情報処理や信頼構築という点でそれなりに効率的だったからこそ、各国は揃ってこの仕組みを採用してきている訳である。
これに対し、完全に分権的な仮想通貨という発想は、それ自体は興味深いものである。しかし現実の世界では、米中貿易問題やブレグジットなど、むしろ、国境や国民国家の枠組みの再強化を指向するような動きもみられている。このように、現状の、国民国家を前提とする枠組みが基本的には維持されている中、仮想通貨だけが分権的な仕組みを採ろうとしても、情報処理や信頼構築のコストが跳ね上がってしまうことは避け難い。
現在、ブームは鎮静化しつつも、種類はなお増加を続けている仮想通貨であるが、この中で、発行益目当てに発行され続けている多くの仮想通貨は、支払手段にも本格的な投資の対象にもならないまま終わる可能性が高いだろう。
仮に、近い将来、支払手段としてある程度使われる仮想通貨が現れるとすれば、それは当初想定されたような完全な分権型ではなく、既にある信頼を利用することで、信頼構築のコスト軽減や価値の安定化を図るものとなる可能性が高いように思われる。そして、そうした仮想通貨は結局、既存の支払決済手段に、かなり近付いていくのではないか。
山岡 浩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