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돈이 사악해지기까지 | 페니키아인과 그리스인 II
- Work4Block
- 0
- 3,309
- 0
- 0
- 글주소
- 09-18
페니키아인들은 단순한 상인이 아니었다.
육지에서는 농경으로 올리브와 포도를 수확해 1차 산업, 등잔의 기름으로 쓰인 올리브유와 고가의 와인을 생산했고, 유리도 생산하여 유리 공예품을 수출했으며, 자주색 직물도 생산하여2차 산업</sub 지중해 전역으로 유통시켰다.3차 산업.
1, 2, 3차 산업을 모두 아우르며 고도화된 경제 체제를 갖췄던 페니키아인들의 산업을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고부가가치 교역품의 무역이었다. 당시에 와인 5리터의 가격은 황소 한 마리의 가격과 같았고, 자주색 염료는 금보다 비쌌다. 이들이 생산한 자주색 염료는 뿔고동의 껍질에서 추출한 것이었는데, 이 염료 산업이 가져다주는 수입이 컸기에 15세기 비잔틴 제국이 멸망할 때까지 약 2천 년 동안이나 염료 추출 법이 극비로 관리 되었다. 비잔틴 제국이 멸망하면서 염료 추출 법도 동시에 사라졌으니, 국가 차원에서 얼마나 아낀 산업이었는지 얼추 짐작이 가능하다. 비잔틴 멸망 이후 더 이상 자주색 염료를 생산할 수 없었던 유럽에서는 결국 황제와 추기경의 의복이 자주색에서 붉은색으로 바뀌기도 했다.
교역에 대한 감각이 굉장히 뛰어났던 페니키아인들은 경제와 문화 측면에 있어서 만큼은 지중해 세계를 선도했던, 아마도 인류 역사상 최초의 국제 무역 스페셜리스트였다. 하지만 화폐를 빈번하게 사용하지는 않았는데, 아무래도 그들의 교역품이 일반 서민 대상이 아닌 부유층과 지배층 대상이었기 때문에 교환의 편리성은 깊게 고민하지 않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레반트 지역의 페니키아 도시 국가 중 티레는 유대 왕국과 돈독한 관계를 유지했다. 다윗 왕이 왕궁을 짓는데 백향목을 보내주고 목수와 석공을 보내어 도와주었는가 하면, 솔로몬 왕 때도 성전을 짓는데 백향목을 공급해주었다. 그에 대한 화답으로 솔로몬 왕은 홍해와 인도양으로 통하는 항구를 페니키아인들에게 제공했고, 페니키아인들은 다시 솔로몬 왕의 상선대를 보호해주어 유대인들이 지중해 전역으로 진출할 수 있게 도왔다. 이베리아반도의 카디스에 유대인들이 진출한 시기가 바로 이 시기다. 두 민족은 아무래도 성향과 추구하는 바가 비슷하여 서로 동질감을 느꼈을지도 모를 일이다.
한편 아직 무역에 눈이 뜨이지 않았던 시기의 그리스인들은 페니키아 인들을 통해 해상 국제 무역의 힘을 깨달았고, 곧 페니키아인에게서 바톤을 이어 받아 훗날 해상 무역의 강자로 발돋움하게 된다. 그리고 해상 무역의 경험치가 누적되어감에 따라, 내재 가치와 사회 구성원의 합의에 믿음까지 더해진 강력한 화폐, 일렉트럼에서 화폐 제도의 가치를 꿰뚫어 본 바, 이를 본떠 기원전 6세기 말부터 본격적으로 본인들만의 화폐를 주조하기 시작했다.
그리스의 폴리스들은 서로 각자의 화폐를 만들어 사용했다. 스파르타나 아르고스 같은 폴리스들은 철화를 사용했고, 아테네는 은화를 사용하는 식이었다. 따라서 그리스에서는 다양한 화폐들 간의 환전 업무가 중요했고, 자연스레 환전상들은 부를 축적해 나가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들은 축적된 부를 대부업에 활용하기 시작했으니, 은행의 기원을 그리스에서 찾는 사람들도 많다.
그리스의 폴리스 중 아테네가 화폐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는데, 은광을 소유하고 있어 은화 드라크마를 주조하여 폴리스들에 은화를 공급하는 위치에 설 수 있었다. 해군력을 등에 업고 국제 무역도 가장 활발하게 진행했기에 경제력은 최고의 지위에 올라설 수 있었다. 1달란트=60무나, 1무나=100드라크마, 1드라크마=6오볼루스 였으며, 달란트와 무나는 계산에만 사용하던 단위로 실체는 없었다고 전해진다. 1 드라크마의 가치에 대해서는 당시 일용직들의 급여가 일당 0.5~1 드라크마였다는 기록이 전해져 오늘날의 가치와 비교를 해볼 수도 있다.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월 평균 급여를 180만 원으로 정하고, 일당 개념임을 감안해 주 6일 근무를 가정하면, 대략 75,000원의 일당이 산출된다. 1드라크마는 75,000원의 가치를 가졌을까. 1 드라크마는 4.3그램의 은을 가지고 주조했는데, 오늘날 은 값이 대략 1,000g 당 79만 원 선에서 형성된다. 약 3천 원 가치의 은을 가지고 75,000원의 가치가 담긴 화폐가 유통되었던 것을 미루어 봤을 때 고대부터 이미 화폐라는 것은 그 내재가치와는 별개의 가치를 지닌 상태였다.
이렇게 실제 내재 가치보다 많은 가치를 화폐에 담기 위해 일렉트럼은 수도 사르데스의 상징인 휘장을 화폐에 새겨 넣었고, 페니키아인들은 본인들의 자랑인 갤리선을 화폐에 새겨 넣었다. 국가 수도의 상징과 지중해를 주름 잡는 갤리선을 통해 화폐에 믿음을 불어넣고자 했을 것이다. 반면 이들과 달리 신들의 나라에 살던 그리스인들은 금과 은으로 만들어진 주화 표면에 신화에 등장하는 신들의 초상을 새겼다. 화폐에 신뢰를 심기 위해 국가나 민족의 상징을 새겨 넣던 행위가 그리스인들에 이르러서는 종교와 이데올로기까지 담아나가기 시작한 것이다.
그리스의 돈은 아고라에서 생겨났다고 봐야 한다.
고대 그리스의 아고라에는 시장이 있었는데 단순히 물품만 거래된 것이 아니었다. 재화와 용역 뿐만이 아니라 사상까지도 교환하던 곳으로, 전 세계의 사람들이 몰려들어 본인들의 나라에는 없는 물품을 구하고는 했다. 각자의 능력에 따라 부를 축적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이었던 아고라는 자연스레 빈과 부가 나뉘기 시작한 장소였고, 신분과 종교를 초월해 개인의 능력만이 부각되는 장소였다.
돈이 모여드는 장소에서는 부의 극대화를 위해 최선의 방법을 논하는 경우가 빈번했고, 이 과정에서 국가나 특정 계층이 관여해서는 안 되며 오로지 거래의 당사자들만이 최선의 방법을 도출할 수 있다고 믿었다. 자연스레 자유라는 개념이 이곳 아고라에서 생겨났고, 민주주의라는 인류의 핵심 이데올로기 중 하나도 태동하기에 이른 것이다. 결국 민주주의도 돈에 의해 생겨났다.
델로스 동맹. Source : author Marsyas
자연스럽게 형성된 자유 시장과 그곳에서 거두어들인 세금은 아테네를 부강하게 만들어줬다. 점차적으로 지중해 무역의 허브가 되어가는 과정에서 전 세계의 상인들이 모여들었으니, 아테네에 쌓여가는 부는 굉장한 규모였을 것이다. 아테네는 이 부를 지켜야 했고, 다시 있을지 모르는 페르시아의 재침에 대비해야 했으며, 무역로를 지켜야 했다. 그렇게 아테네는 델로스 동맹의 맹주 자리에 올랐다.
아테네의 경제는 눈부시게 발전해 그에 걸맞는 위상을 갖추고자 각종 인프라 건설에 열을 올렸다. 게다가 페르시아에 대한 이집트의 반란을 지원하고, 스파르타를 맹주로 하는 펠로폰네소스 동맹군이 델로스 동맹 도시를 공격하면, 델로스의 맹주로서 동맹 도시 국가를 지원해야 했다. 아테네의 책임과 그 역할은 점점 커져만 갔다. 당연히 경비의 지출은 눈덩이처럼 불어났고, 급기야 펠로폰네소스 전쟁이 일어나면서 아테네의 지출은 정점에 달했다. 영토 밖에서 진행된 전쟁의 군수 물자는 현지에서 조달이 됐기 때문에 화폐는 지속적으로 해외로 유출 됐고, 당연히 도시의 돈 줄은 말라만 갔다.
페니키아인과 그리스인 III 에 계속
#2 아름다움
#3 환경
#4 누비아의 금
#5 일렉트럼 : Electrum
#6 믿음을 강요하는 화폐 I
#7 믿음을 강요하는 화폐 II
#8 페니키아인과 그리스인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