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과학 에세이] 종 예외주의 (1) : 들어가며
- Work4Block
- 0
- 3,204
- 0
- 0
- 글주소
- 08-21
들어가며
『혹성탈출(원제 Planet of the Apes)』은 프랑스 작가 피에르 불(Pierre Boulle)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할리우드 영화이다. 나는 개인적으로 영화를 꽤 좋아해서, 이 영화도 1968년 처음 개봉된 오리지널 혹성탈출부터 최근 리부트 시리즈까지 다 챙겨 보았다. 인류가 몰락하고 다른 유인원이 지구를 지배하게 된다는 설정은 지금 봐도 충격적이고 참신한 상상이다.
그런데 『혹성탈출』에는 단 한 가지, 나의 몰입을 방해하는 요소가 있다. 그것은 침팬지와 고릴라, 오랑우탄이 한 데 사회를 이루고 사는 모습이다. 1968년 영화에는 정치인이나 과학자의 모습을 한 침팬지와 군인 고릴라가 등장하고, 최근의 영화에는 함께 연합하여 인간에게 대항하는 세 종이 등장한다. 요즘에는 누구나 상식으로 알고 있듯, 침팬지는 유전적으로 사람과 제일 가깝고, 고릴라와 오랑우탄과는 굉장히 먼 거리에 있다. 아무리 그들에게 인간이라는 공동의 적이 있다고 해도, 그들이 쉽게 연대할 수 있는 유전적 거리에 있다고 생각되지 않는다. 한 발 양보하여 설정을 받아들인다손 쳐도, 그 정도 수준의 사해동포주의를 갖고 있는 유인원들이 대체 왜 인간만은 짐승 취급을 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 물론 허구의 상상인데 무엇인들 가능하지 못하랴마는, 사람마다 각자가 허용하는 상상의 범위는 다르고, 나에게는 침팬지와 고릴라, 오랑우탄이 연합하여 싸우는 광경이 너무 어색해서 몰입이 잘 되지 않았다. 나는 “원작이 계통분류학이 발전하지 않았던 시대에 나온 탓이야”라고 되뇌며 영화에 집중할 수밖에 없었다.
『혹성탈출』에는 인간 이외의 유인원을 모두 원숭이로 취급하는 인간 중심적 사고방식이 깔려 있다. 나는 이 인간 중심적 사고를 ‘종 예외주의’라 부르려 한다. 예외주의(Exceptionalism)란 어떠한 특정 인종, 국가, 개인, 사회, 기관이나 기간 등이 다른 것들과는 구분되는 특별한 존재(예외적인 존재)라는 인식을 일컫는다. 나는 특별하다는 인식은 곧 나에 대한 자부심인 동시에, 대상을 ‘나’와 ‘나 이외의 것들’로 이분하고, 나 이외의 대상을 평가절하 한다. 고대 중국에서는 주변 국가를 모두 오랑캐(夷)로 보았고, 고대 그리스에서는 외국인을 전부 야만인 바바로이(barbaroi)라 불렀다. 16세기 스페인 바야돌리드에서는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이성을 갖고 있는지를 주제로 논쟁이 붙었으며, 불과 지난 세기만 하더라도 서구 세계는 그들의 경제적, 문화적 성장의 원인을 자신들만의 특별한 창의성, 근면성, 유전적 우월성 등에서 찾으려 했다. 에드워드 사이드는 서구 세계가 서구 밖을 ‘동양’으로 뭉뚱그리는 태도를 지적하며 이를 ‘오리엔탈리즘’이라고 불렀다. 『혹성탈출』에서 나타나는 인간의 예외주의도 다르지 않다. 영화는, 인간 스스로의 몰락을 그린다는 점에서 인간의 오만함을 깨부수지만, ‘인간’과 ‘인간 외 유인원’으로 구분 짓는 이분법적 오만함을 벗어나지는 못했다. 과연 인간은 ‘인간’과 ‘인간 외 유인원’으로 구분할 자격이 있을 만큼 특별한 존재인가.
현대의 인류는 이제 침팬지, 고릴라, 오랑우탄이 모두 다른 종인 것은 잘 알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인간은 자신을 관찰자로서 저들과 떼어 놓고 생각하는 버릇 탓에, 유인원 종 사이가 얼마나 어떻게 다른지를 잘 느끼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한때 ‘피그미 침팬지’로 불렸던 ‘보노보’는 침팬지와 별개의 종이며, 침팬지는 다시 네 개의 아종(subspecies)로 구분되고, 고릴라는 두 개의 종과 네 개의 아종으로 구분된다. 또한 오랑우탄은 별개의 두 종으로 구분되며, 최근 Nater, A. et al.(2017)은 새로운 오랑우탄 종을 구분했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아마 대다수의 사람들은 이 대목에서 조차 “침팬지가 거기서 거기고, 고릴라가 거기서 거기지”라고 생각할지 모른다. 그러나 실상은, 침팬지나 고릴라의 한 아종이 갖는 유전적 다양성이 인류 70억 인구의 유전적 다양성을 뛰어 넘는다. 한 종(species)이 아니라 한 아종(subspecies)이 갖는 유전적 다양성이다. 오히려 유인원들 눈에는 인간이 거기서 거기인 셈이다.
따라서 나는 먼저 인간과 유인원 종을 분류하여 각자가 얼마나 유전적으로 다른지를 밝히고, 이후 유인원과 인간의 행태를 비교함으로써, 인간의 ‘종 예외주의’가 부당한 까닭을 이야기해 보고자 한다.
[과학 에세이] 종 예외주의 (2) : 종의 분화로 이어집니다.
참고 문헌
[1] Begue, L. (2013). 도덕적 인간은 왜 나쁜 사회를 만드는가. 이세진 (번역). 서울 : (주)부키. (원전은 2010에 출판)
[2] Burgess, R., Yang, Z. (2008). Estimation of Hominoid Ancestral Population Sizes under Bayesian Coalescent Models Incorporating Mutation Rate Variation and Sequencing Errors.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25(9), 1979–1994.
[3] Dawkins, R. (2006). 이기적 유전자(30주년 기념판). 홍영남 (번역). 서울 : 을유문화사 (원전은 2006에 출판)
[4] de Waal, F. (2005). 내 안의 유인원. 이충호 (번역). 경기도 파주 : 김영사 (원전은 2005년에 출판)
[5] Diamond, J. (1996). 제3의 침팬지. 김정흠 (번역). 서울 : 문학사상사 (원전은 1993에 출판)
[6] Diamond, J. (2013). 총, 균, 쇠(개정). 김진준 (번역). 서울 : 문학사상사 (원전은 2003에 출판)
[7] Doker, J.(2012). 고전으로 읽는 폭력의 기원. 신예경 (번역). 경기도 파주 : (주)알마. (원전은 2008에 출판)
[8] Locke, D., Hillier, L., Warren, W., Worley, K., Nazareth, L., Muzny, D., [...] Wilson, R. (2011). Comparative and demographic analysis of orang-utan genomes. Nature, 469, 529-533. doi:10.1038/nature09687
[9] Nater, A., Mattle-Greminger, M., Nurcahyo, A., Nowak, M., Manuel, M., Desai, T. [...] Kru¨tzen, M. (2017). Morphometric, Behavioral, and Genomic Evidence for a New Orangutan Species. Current Biology, 27(22), 3487 - 3498.
[10] Prado-Martinez, J., Sudmant, P., Kidd, J., Li, H., Kelley, J., Lorente-Galdos, B. [...] Marques-Bonet, T. (2013). Great ape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history. Nature, 499, 471–475. doi:10.1038/nature12228
[11] Williams, J. M., Lonsdorf, E. V., Wilson, M. L., Schumacher-Stankey, J., Goodall, J. And Pusey, A. E. (2008). Causes of Death in the Kasekela Chimpanzees of Gombe National Park, Tanzania. American Journal of Primatology, 70, 766–777.
저자의 다른 글
과학 에세이
신경 과학